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25학년도 수능 일정

mjedustory 2025. 1. 17. 09:45
반응형



1. 수능 일정

2025년 11월 13일(목요일)입니다. 수능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그날에 맞춰 전국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시험이 시작됩니다.

2025년도 수능 응시료는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024년도 기준으로 수능 응시료는 일반적으로 4만 원 내외였으므로, 2025년도에도 비슷한 금액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확한 정보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또는 관련 기관에서 발표하는 내용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시험 자격

a. 고등학교 재학생
-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은 수능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 보통 학교에서 수능 응시를 위한 준비를 하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험 등록 절차를 따릅니다.

  b. 고등학교 졸업생
- 고등학교 졸업자는 수능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졸업 이후에도 수능을 응시하려는 경우, 수능 응시를 위한 등록 절차를 따르고, 해당 연도의 수험생으로 인정됩니다.
- 졸업생은 별도의 신청 절차와 응시료를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

  c. 검정고시 합격자
- 검정고시(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시험)에 합격한 사람도 수능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검정고시 합격자는 고등학교 졸업과 동등한 학력을 인정받아 수능에 응시할 자격을 부여받습니다.

  d. 외국학교 졸업자
- 외국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에도 수능 응시가 가능합니다. 이 경우, 해당 졸업자는 한국에서 시행되는 수능 응시 절차를 따르고, 외국에서의 학력 인정 절차도 거쳐야 할 수 있습니다.

2-1. 수능 응시 제한 사항

- 재수생 및 졸업생의 경우: 이전에 수능을 본 경험이 있더라도,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다만 응시 연한에 따라 2년 연속 응시 가능 여부와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수능에 응시하려면 2024년에도 수능을 본 사람은 특별한 제한 없이 응시할 수 있습니다.
  
- 학적 변동: 고등학교에서의 학적 상태나 그 외의 이유로 재학 중이나 졸업 상태가 변동되었을 경우에는 추가적인 절차나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시험과목
수능은 크게 영어, 국어, 수학, 탐구, 제2외국어/한문 과목으로 나뉩니다.

- 국어: 문학, 언어, 독해, 작문 등으로 구성됩니다.
- 수학: 수학 가형(자연계)과 수학 나형(인문계)으로 나뉘어 시험이 진행됩니다.
- 영어: 듣기 평가와 독해, 문법 등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탐구: 2과목 선택 (사회탐구, 과학탐구 등)
- 제2외국어/한문: 선택 과목으로 제2외국어(중국어, 일본어 등) 또는 한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수능 시험장소

시험장소는 보통 거주지 근처의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이루어집니다. 수험생은 시험 전날 응시할 시험장의 위치와 교실 배정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험장에 대한 정보는 수험생에게 시험 전 날인 11월 12일(수요일)쯤 제공됩니다.


5. 수능 준비사항
수험생이 수능을 준비할 때 알아야 할 주요 준비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시험 당일 준비물
- 수험표: 반드시 본인 수험표를 지참해야 합니다.
- 신분증: 주민등록증, 여권 등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을 준비합니다.
- 연필: 일반적으로 수능에서는 4B 연필을 사용합니다.
- 지우개: 시험지에 표시된 답을 지우기 위한 지우개도 필요합니다.
- 검정색 볼펜: 수험표에 서명 시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시계: 시험 시간 확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계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전자시계 제외).

b. 시험 전날 준비
- 시험 장소 및 교실 확인: 수험표나 공지사항을 통해 시험장 위치와 교실 배정 정보를 확인합니다.
- 필요한 준비물 점검: 위에서 언급한 시험 준비물을 미리 체크합니다.
- 시험 시간에 맞춰 일찍 도착: 교통사고나 지연을 피하기 위해 시험장에는 여유 있게 도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c. 시험 당일
- 시험 전 음식: 시험 전에는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 건강 관리: 수험생은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피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간 관리: 시험은 정해진 시간 안에 풀어야 하므로 시간 관리 능력이 중요합니다.


6. 수능 후 일정
수능이 끝난 후, 각 과목의 점수 통지는 보통 12월 초에 이루어집니다. 이후 대학별 전형에 맞춰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시 모집의 경우 수능 성적을 기준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절차가 진행됩니다.


7. 기타 유의사항
- 휴대폰 사용 금지: 시험 도중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으며, 시험장 내에서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보관해야 합니다.
- 질병 및 응급 상황: 만약 시험 도중 응급 상황이나 질병이 발생했을 경우, 시험 감독관에게 알리고 응급처치 및 추가 시험 응시 절차에 대해 안내를 받습니다.

이 모든 사항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준비하시면 수능에 더 잘 대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