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줌 논술 수업 - 글을 쓴다는 것
한국 아이들과 수업하려고 새벽 4시 반에 일어났다. summer time이 끝나서 시차가 조금 바뀌었기 때문이다. 일요일 새벽 4시반에 일어난다는 건 뭔가 덤으로 주어진 무엇인가를 빼앗기는 느낌이기는 하지만 아이들과의 1시간 반 수업은 늘 재미있다. 이번 책은 '앤드루 클레먼츠'의 <말 안하기 게임>이다. 영어책은 <No tTalking>이다. 말 안하기 게임 앤드루 클레먼츠 2010 비룡소 간디의 이야기를 감명깊게 본 '데이브'는 간디가 일주일에 한번은 말을 안한다는 것을 알고, 학교에서 말 안하기를 해 보기로 한다. 점심시간에 린지가 친구들과 시끄럽게 대화하는 걸 보고 그녀에게 '말 안하기 게임'을 제안한다. 5학년 아이들은 남자팀과 여자팀으로 나누어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 규칙은 48시간동안 학교나, 집, 스쿨버스에서도 말하지 않아야 하며, 만약 학교에서 선생님이 질문을 한다면 세 마디로만 말할 수 있다. 과연 승자는?? 아이들이 만들어 온 발문에 답 해보기도 하고, 세 마디로만 말하기를 하며 워밍업을 해 본다. 우리 수업에서는 책을 제대로 이해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 문학을 읽을 때에는작품을 온전히 감상할 수 있고, 책이 가진 함의를 해석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주관적 이해가 필요하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글을 꼼꼼히 읽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문학을 독해할 때에는 작가에 대한 이해, 주제, 구성 문체 등을 잘 분석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구성에서 인물, 사건, 배경을 스스로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수업에서는 질문을 통해 하기도 하지만, 마인드맵을 통해 책 한 권을 통째로 그려본다. 혼자 하면 더 어려운데, 4명이서 같이 하면 한결 수월하다. 나는 물꼬를 터 주는 질문을 해 주고, 아이들이 스스로 이야기할 수 있게 한다. 오늘은 특히 글쓰기에 대해 이야기 해 본다. 아직 글쓰기의 기초가 부족한 아이들에게 자기 글을 어떻게 구...